[Swift] 변수, 상수, 자료형
1. 변수와 상수
변수와 상수
- 변수를 선언할 때: var + 변수명
- 상수를 선언할 때: let + 상수명
var myName = "chul"
let message = "Hello, World!"
※ var, let 등의 키워드로 선언된 변수에 처음으로 값을 대입하는 과정을 초기화(Initialize)라고 함
선언과 동시에 초기화 하는 경우, 대입 연산자 앞 뒤의 공백을 주의해야 한다.
(앞과 뒤에 모두 동일하게 적용해야 함)
let myName ="Chul" // X
let myName= "Chul" // X
let myNuame = "Chul" // O
여기서, 변수의 타입이 적혀있지 않은 것을 볼 수 있다.
Swift는 타입 어노테이션과 타입 추론이라는 문법을 사용한다.
※ 타입 추론이란,
지금까지 살펴본 문법은 타입 추론 방식으로, 상수 혹은 변수에 대입 된 값을 기준으로 타입이 지정된다.
※ 타입 어노테이션이란,
상수, 변수를 선언할 때 정확한 타입을 작성해주는 방식
var age = 18 // 타입 추론 방식
var message: String = "Hello" // 타입 어노테이션 방식
일단 초기화된 상수의 값은 변경할 수 없다.
오류 메시지 : "Cannot assign to value 'cValue' is a 'let' constant"
또한, Int, String 등으로 타입을 한 번 지정하게 되면 그 타입 이외의 값을 저장하는 것이 불가능하다.
오류 메시지 : "Cannot assign value of type 'String' to type 'Int'"
var intValue = 3
intValue = "Hello" // 불가능
변수, 상수 이름 정의
- 알파벳, 한글(자음, 모음 포함), 특수 기호, 한자, 이모지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.
- [ +, -, *, /] 및 공백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.
- 예약어나 키워드로 등록되어 있는 단어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.
- 변수, 상수명의 첫 번째 자리에는 숫자가 올 수 없습니다.
단, 변수와 상수명에 한자, 이모지, 특수 기호 등을 사용하는 것은 가독성을 해칠 수 있으므로 영어, 숫자를 사용하는 것을 권장함.
2. 자료형
기본 자료형
1. Int
- 정수값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자료형
2. Double & Float
- 실수값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자료형 (Double 형을 사용하는 것을 권장)
3. Bool
- True, False 값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자료형
4. Character
- 문자 하나를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자료형
5. String
- 문자열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자료형
※ Swift에서는 실수값의 Default 자료형은 Double이며, 문자의 Default 자료형은 String이다.
let oneChar = "A" // oneChar의 타입은 String
Float 타입과 Character 타입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타입을 명시해주어야 한다.